1. 서 론
무인항공기 체계통합실험실(UAV SIL, 이하 무인항공기 체계 SIL)은 개발 목표인 무인항공기 체계의 요구도 충족여부를 검증하는 수단이며, 동시에 실제 무인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모의하여 비행시험 이전에 수행해야 할 체계통합시험을 실험실에서 수행하기 위한 시험환경이다. SIL 개념은 1994년 보잉사에서 777 민간항공기 개발용으로 처음 구축한 이후, 군용 코만치 헬리콥터 SIL과 같은 군용항공기 분야, 군용차량분야 까지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는 검증 도구이다
[1-3].
무인항공기 체계는 무인항공기, 데이터링크, 그리고 지상통제장비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복잡도가 매우 높은 복합체계이다. 이러한 복합체계의 기능과 성능을 포함한 요구도를 정밀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별, 계통별 자체 검증이 완료된 장비들을 통합한 완전한 체계 형상의 시험환경이 필요하고, 동시에 비행 형상을 실시간으로 모의하여 무인항공기의 활주, 이륙, 비행, 복행, 착륙 등의 동적 체계운용 기능 및 성능까지도 검증할 수 있는 통합된 형상의 무인항공기 SIL 환경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 체계의 구성품 간의 통합연동과 무인항공기, 데이터링크, 지상체의 부체계 통합 연동 및 통합 체계 운용성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체계 SIL 환경의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무인항공기 체계의 구성, 무인항공기 체계 SIL 설계 구성, 무인항공기 체계 SIL 시험 항목 식별, 시험결과 등에 대해 기술한다.
2. 무인항공기 체계SIL 구성
2.1 무인항공기 체계의 구성
무인항공기 체계의 구성은
Fig. 1과 같이 무인항공기, 데이터링크, 지상통제장비의 부체계로 구성된다
[4].
Fig. 1.
무인항공기는 비행조종 계통과 비행센서 계통, 항공전자 계통, 탑재데이터링크 계통 그리고 임무장비 계통으로 구분할수 있다.
비행조종 계통은 비행조종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엔진, 추진제어장치, 연료량측정장치 등의 엔진계통과 조종면 구동기와 조종면 제어기로 구성된 구동계통, 그리고 착륙장치, 제동제어기, 조향제어기 등으로 구성된 착륙유압계통으로 구성된다.
비행센서 계통은 무인항공기의 위치, 속도, 자세 등의 정보를 획득해 주는 대기측정센서, 복합항법장치, 전파고도계, 정밀위치추적기로 구성되어, 비행조종컴퓨터로 획득정보를 제공한다.
비행조종컴퓨터는 비행센서 계통 정보를 사용하고 엔진계통, 구동계통, 착륙계통을 통제하면서 이륙, 비행, 착륙 임무를 수행한다.
항공전자 계통은 임무컴퓨터를 중심으로 무인항공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해주는 환경제어장치, 지상체 조종사와의 교신을 위한 음성통신장치, 그 외에 전원감시장치, 외부주시카메라, 음성영상압축장치, 비행자료저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무인항공기에 탑재되는 데이터링크 계통(Data Link System)은 가시선통신을 수행하는 탑재통신제어기와 가시선 안테나, 그리고 위성통신제어기와 위성안테나 등으로 구성되어, 지상데이터링크 계통으로부터의 상향채널을 통하여 지상통제장비의 조종사 명령을 전송하며, 무인항공기 상태정보와 외부주시카메라의 전방 시야 확보 영상과 임무장비에서 획득한 표적영상을 하향채널을 통하여 지상통제장비로 전송한다.
임무장비 계통은 외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EO/IR(Electro Optic/Infra Red),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장비로 구성된다.
지상통제장비(Ground Control Station)는 주조종사/부조종사 운용장치, 임무계획장비, 센서운용사장치로 구성된다. 주조종사/부조종사 운용장치는 조종사가 무인항공기의 자동비행을 쉽게 통제할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고 외부주시카메라 영상을 화면에 도시하며, 자동운용이 기본 개념이지만, 긴급한 경우에 조종사 개입을 허용하기 위해 조종스틱과 쓰로틀레버, 그리고 제동 및 조향장치 제어를 위한 페달을 갖추고 있다.
임무계획장비는 무인항공기의 자동비행 시, 항로점 정보, 표적촬영 임무정보 등을 포함한 자동비행 및 촬영 계획을 작성하는 장비로서, 지상에서 작성한 임무계획 화일을 비행 전, 또는 비행 중에 무인항공기로 전송한다.
센서운용사장치는 임무장비가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전시하는 장비이다.
2.2 무인항공기 체계SIL 구성
Fig. 2는 무인항공기 체계 SIL의 구성 개념을 나타낸 그림이다. 무인항공기 체계 SIL은 실제 무인항공기 체계의 실 구성품들을 실험실로 옮겨 배치하여 무인항공기의 모의비행 환경과 체계운용 환경을 구축하고, 무인항공기, 지상체, 데이터링크 구성 실 장비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환경을 구축한 다음, 무인항공기의 모의비행 상황에서의 각종 체계운용 시험을 수행하면서 각 구성품 실장비들의 설계 오류, 구현 오류, 또는 체계 운용 시의 연동 오류를 찾아내어 보완할 수 있는 개발환경이다. 또한 무인항공기의 추진계통, 전기계통, 유압계통, 고출력 안테나 계통 등의 검증 시험을 위해 거대한 시설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검증 필요사항은 야외에서 수행하는 체계통합시험에서 수행한다.
Fig. 2.
A concept of UAV SIL architecture
무인항공기 체계 SIL은 비행조종 HILS(Hardware In-the-Loop Simulation)
[5-7], 항공전자 SIL, 데이터링크 탑재부 및 데이터링크 지상부 장비 랙, 임무장비, 지상통제장비, 그리고 실시간 자료분석장비(Flight Data Analysis System: FDAS)로 구성된다(
Fig. 3).
Fig. 3.
비행조종 HILS는 무인항공기의 속도, 자세, 고도 등의 항공기 거동을 제어하는 두뇌에 해당하는 핵심 장비인 비행조종컴퓨터의 OFP(Operational Flight Program)와 제어법칙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환경으로, 비행조종컴퓨터를 중심으로 복합항법장치, 대기자료센서, 전파고도계, 정밀위치추적기로 구성된 비행센서계통 장비들과 통합추진제어모니터링장치, 조종면구동장치, 조향제어기, 제동제어기로 구성된 비행조종계통 장비들, 임무컴퓨터, 그리고 비행환경을 모의하기 위한 실시간 비행시뮬레이터, 입출력모의장비, 모의영상생성장비로 구성된다.
실시간 비행시뮬레이터는 무인항공기의 6자유도 운동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무인항공기가 지상에 정지되어 있을 때나, 또는 비행 중인 상태를 모사해 주어 지상통제장비와 데이터링크 계통을 통한 무인항공기와의 정적, 동적 통합연동 상태를 검증할 수 있으며, 비행조종센서 계통, 비행조종계통 장비들의 모델들이 구현되어 있어, 실 장비들과 선택적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유연한 연동점검이 가능하다.
입출력모의장비는 비행조종컴퓨터와 연동되는 무인항공기 장비와의 모든 입출력 신호를 모사해 주는 장비로, 1553B, CAN, Ethernet, RS-232 통신 외에 Analog, Discrete 신호 인터페이스를 보유한다. 실시간 비행시뮬레이터는 VME 컴퓨터 기반으로 VxWorks 실시간 운영체제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레임 RTNgine을 사용하였으며, 비행조종 HILS 모델을 실행한다.
모의영상생성장비는 관심 지역에 대하여 위성영상지도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하고 있어, 실시간 비행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무인항공기 상태정보를 사용하여 무인항공기 모델을 위성지도 기반의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거나, 이륙, 착륙 시 외부주시카메라의 이륙, 착륙 영상을 표시한다.
항공전자 SIL은 임무컴퓨터의 OFP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환경으로, 비행조종컴퓨터, 데이터링크제어기, 음성통신장치, 환경제어장치, 전원감시장치, 외부주시카메라, 음성영상압축장치, 임무장비 등과 연동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장비들의 모델이 구현되어 있어, 실 장비들과 선택적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유연한 연동점검이 가능하다.
데이터링크 장비는 가시선데이터링크 장비들과 위성데이터링크 장비의 실장비들 구성되며, 실험실 제한으로 인하여 안테나 장비들은 제외하고, 대신 RF(Radio Frequency) 유선케이블로 연동한다.
지상통제장비는 체계 운용로직 검증에 필요한 실 장비들을 그대로 사용한다.
실시간 자료분석장비는 시험 중에 무인항공기 탑재장비 간의 통신에서 얻어지는 모든 비행 자료와 지상통제장비에서 발생되는 모든 자료를 ICD(Interface Control Document)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획득, 저장, 분석 기능과 후처리 분석 기능을 갖는다(
Fig. 4).
Fig. 4.
Realtime flight data display
2.3 무인항공기 모델링
무인항공기의 활주, 비행, 이륙, 착륙과 같은 동적 상태에서 체계운용 로직의 검증을 위해서 비행센서계통 장비들과 비행조종계통 장비들은 UAV SIL 환경의 실시간 비행시뮬레이터에서 등가의 실행모델 또는 수학모델로 대체된다. 이러한 등가모델들은 조종면구동장치 모델, 추진모델, 착륙장치모델, 대기자료센서 모델, 복합항법장치 모델 등의 기능 및 성능모델들로서 중력모델, 중량모델, 공력모델, 바람모델 등의 수학모델과 함께 무인항공기 6자유도 운동모델에 통합되어 무인항공기 체계의 동적 검증에 사용된다
[6].
Fig. 5는 비행조종 HILS 환경에 사용된 모델과 비행조종컴퓨터 간의 연동도이다.
Fig. 5.
HILS modeling for UAV flight simulation
조종면구동장치 모델은 조종면 변위명령에 대한 조종면구동장치 반응특성을 계산하는 2차식, 또는 3차식의 전달함수 모델로써 12개의 조종면에 대한 각각의 모델로 구성된다. 공력모델은 풍동시험 결과로 획득한 공력계수 테이블로, 받음각, 옆미끄럼각, 속도, 고도, 조종면변위각, 쓰로틀, 날개하중배수를 입력변수로 하고, 무인항공기형상, 착륙장치 전개형상, 자세변화율, 받음각변화율, 조종면변위, 추력, 지면효과, 날개부하효과 등 공력 형상변경에 따라 양력계수, 항력계수, 측력계수, 롤모멘트계수, 피치모멘트계수, 요모멘트계수를 출력한다.
추진모델은 온도, 고도 등의 환경변수 및 추력조종명령에 대한 엔진출력과 프로펠러에 의한 무인항공기 추력을 제공한다. 착륙장치모델은 무인항공기의 지상 이착륙 시 항공기 자세, 지면에 대한 반발력, 조향 및 제동명령에 의한 무인항공기의 3축 방향의 힘과 모멘트를 출력한다.
대기모델과 중력모델은 각각 국제표준대기모델과 WGS84(World Geodetic System 84) 기준 중력모델을 사용하였다.
중량모델은 무인항공기 탑재장비의 장착유무, 착륙장치의 전개 유무, 연료소모에 따른 무인항공기 총 중량, 무게중심, 관성모멘트의 변화를 산출하는 모델로써 설계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다.
비행조종 HILS 모델들은 Matlab-Simulink 환경에서 C-코드로 생성한 다음, VME용 SBC(Single Board Computer) 기반의 비행 시뮬레이션 목적의 실시간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VxWorks 실시간운영체제 기반의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포팅된다.
Fig. 6은 Matlab-Simulink에서 작성한 모델의 한가지 예로서 랜딩기어의 Wheel-Dynamics 모델이다.
Fig. 6.
Wheel-dynamics model of landing gear
Fig. 6의 랜딩기어 모델은 실제 항공기의 활주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딩기어 모델을 튜닝하였고,
Fig. 7은 튜닝한 랜딩기어 모델을 적용한 HILS 시험 결과와 실제 활주시험 결과를 비교한 자료로서, 튜닝된 랜딩기어 모델을 적용한 HILS 시험 결과와 실제 활주시험을 통해 활주한 각속도 결과 값이 매우 유사하여 모델 튜닝이 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랜딩기어 모델 중 타이어 마찰력 등은 대표적인 비선형 함수이며 모델링이 매우 힘든 분야로 실제 저속 활주시험으로 확보한 자료를 활용하여 튜닝하여야 한다
[7].
Fig. 7.
Comparison results of ground taxing and HILS modeling
2.4 무인항공기 체계SIL 시험항목 및 시험결과
무인항공기 체계 SIL 시험은 정적 연동시험, 정상 운용시험, 비정상 운용시험, 비상 운용시험의 네 가지로 구분한다(
Fig. 8).
Fig. 8.
Test case category of UAV SIL
정적 연동시험은 계통장비 별, 또는 부체계장비 별 기본 기능을 점검하는 시험으로 지상에서 무인항공기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ICD를 기반으로 장비별 연동 기능을 점검한다(
Table 1).
Table 1.
분류 |
정적 연동시험 항목 1-1 |
GCS 자체운용점검및기능시험 |
임무계획 분석 및 배포 |
통제장비 초기화 및 자기진단 |
조종기작동 자체점검 |
내부 운용자간 음성통신 |
외부장치 연결 및 관리 |
정보보안 |
지도표시 기능 |
임무자료 저장 및 관리 |
보고서 작성 및 관리 |
임무장비 촬영 영상 편집 |
임무장비 획득 영상 비교 |
데이터링크 지상부 연동 |
DLS 연동시험 |
데이터링크 탑재부 연동 |
정밀위치추적장비 연동 |
암호장비 운용시험 |
임무장비연동시험 |
EO/IR 연동 및 기능 확인 |
EO/IR 수동조작 |
SAR 연동 및 기능 확인 |
SAR 영상 점검 |
무인항공기 탑재장비연동시험 |
무인항공기 전원인가 후 탑재장비 상태정보 확인(1) |
무인항공기 탑재장비 초기화 설정 후 상태정보 확인(1) |
무인항공기 SDF 장입 및 배포 |
무인항공기 추진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연료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착륙(유압)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환경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날개방빙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구동기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비행조종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항전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1) |
무인항공기 복합항법장치 연동 및 기능 확인 |
무인항공기 전기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 |
조종기 작동시험 |
기체구조건전성자료 획득시스템 연동 |
무인항공기 버스자료저장기 연동 |
무인항공기 전원인가 후 탑재장비 상태정보 확인(2) |
무인항공기 탑재장비 초기화 설정 후 상태정보 확인(2) |
무인항공기 항전계통 연동 및 기능 확인(2) |
무인항공기 카메라 영상 확인 |
무전기 음성통신 기능 확인 |
정상 운용모드 시험은 무인항공기의 활주, 이륙, 착륙, 비행 등의 체계 운용 과정에서 상태에서의 명령전달 및 상태응답을 점검하는 통합 운용시험으로, 활주이동, 고속활주, 조종기모드, 점항법모드, 노브모드, 자동임무모드 등의 비행조종방식과 임무장비의 촬영기능을 점검하는 시험이다(
Table 2).
Table 2.
Normal mode operation test
분류 |
정상 운용모드 시험 항목 |
체계운용및기능시험 |
이륙전 점검 |
활주이동(주기장→활주로): Taxi-out |
자동이륙 |
자동임무 시작 |
임무장비 EO/IR 운용: 임무 준비상태 점검 |
임무장비 SAR 운용: 임무 준비상태 점검 |
정상상황 비행통제 |
임무장비 EO/IR 운용: 자동촬영 |
임무장비 EO/IR 운용: 수동촬영 |
임무장비 SAR 운용: 자동촬영/운용 |
임무장비 SAR 운용: 수동촬영/운용 |
임무장비 SAR 운용: 임무영상 우선전송 |
자동착륙 |
활주이동(활주로→주기장): Taxi-back |
조종기방식 이륙 |
조종기방식 착륙 |
고속활주 |
임무장비 EO/IR 운용_위성: 자동촬영 |
임무장비 EO/IR 운용_위성: 수동촬영 |
임무장비 SAR 운용_위성: 자동촬영/운용 |
임무장비 SAR 운용_위성: 수동촬영/운용 |
Fig. 9는 무인항공기 체계 SIL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주 중 활주 상태 정보를 전시한 화면으로 무인항공기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CCD 카메라를 통해 전시되는 전방 영상과 각종 무인항공기 상태정보가 전시되어, 조종사가 이 화면상에 전시된 상태정보를 보고 활주 상태 및 연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Fig. 9.
UAV taxing status in GCS display
Fig. 10은 무인항공기 체계 SIL에서 비행 중인 무인항공기의 실시간 위치와 비행항로 궤적을 전시한 화면으로, 해당 경로를 따라 EO/IR, SAR 장비의 촬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그리고 촬영 기능이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Fig. 10.
UAV flight mission status in GCS display
무인항공기의 촬영 비행 구간에서 EO/IR 촬영 결과는
Fig. 11의 위 그림처럼 모든 블록이 영상으로 채워져 있지만, 오류가 발생하면,
Fig. 11의 아래 그림처럼 비어 있는 블록(미수신 오류)이 발생한다. 이 오류의 원인은 EO/IR의 탑재부에서 촬영 영상을 데이터링크를 경유하여 지상통제장비 중 센서운용사장치로 송신할 때, EO/IR 영상의 수신 처리를 위한 준비 시간이 부족하여 발생한 오류로 분석되었고, 센서운용사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여 해결하였다.
Fig. 11.
Test result images of EO/IR: normal(upper), fault(lower)
비정상 운용모드 시험(
Table 3)은 비행 중 탑재장비의 고장, 또는 데이터링크 두절 등과 같이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해 체계운용 로직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데이터링크 두절 운용시험, 주요 핵심장비 고장시 운용시험, 이중화 장비의 단일고장시험, 단일장비 고장시험 등의 무인항공기 탑재장비들의 고장 발생 시 체계의 운용 대처 능력을 시험한다.
Table 3.
Abnormal mode operation test 1-1
분류 |
비정상 운용모드 시험 항목 1-1 |
데이터 링크 두절운용시험 |
통제명령수신불가@지상모드: 활주제원 미장입 |
통제명령수신불가@지상모드: 활주제원 장입 |
통제명령수신불가@이륙모드: WOW on 상태 |
통제명령수신불가@이륙모드: WOW off 상태 |
통제명령수신불가@임무모드 |
통제명령수신불가@착륙모드: DH(Decision Height: 70ft) 이상 |
통제명령수신불가@착륙모드: DH 미만 |
상태정보수신불가@지상모드: 활주제원 미장입 |
상태정보수신불가@지상모드: 활주제원 장입 |
상태정보수신불가@이륙모드: WOW(Weight On Wheel) on 상태 |
상태정보수신불가@이륙모드: WOW off 상태 |
상태정보수신불가@임무모드 |
상태정보수신불가@착륙모드: DH 이상 |
상태정보수신불가@착륙모드: DH 미만 |
가시선링크(1차) 강건성확인: 조종기방식@이륙/임무/착륙모드 |
가시선링크(1차) 강건성확인: 자동항법@이륙/임무/착륙 |
가시선링크두절시 위성링크운용: 조종기방식@이륙/임무/착륙 |
가시선링크두절시 위성링크운용: 자동항법@이륙/임무/착륙 |
위성링크 강건성확인: 조종기방식@임무모드 |
위성링크 강건성확인: 자동항법@임무모드 |
통제권변경 수행 중 통제명령수신불가 발생 |
통제명령수신불가 - 조종기방식 이착륙 |
상태정보수신불가 - 조종기방식 이착륙 |
주요 핵심장비 고장 시운용시험 |
GCS 고장@지상모드: 활주제원 미장입 |
GCS 고장@지상모드: 활주제원 장입 |
GCS 고장@이륙모드: WOW on 상태 |
GCS 고장@이륙모드: WOW off 상태 |
GCS 고장@임무모드 |
GCS 고장@착륙모드: DH 이상 |
주요 핵심장비 고장 시운용시험 |
GCS 고장@착륙모드: DH 미만 |
주발전기 고장@이륙모드 (WOW on 상태) |
주발전기 고장@이륙모드 (WOW off 상태) |
주발전기 고장@임무모드 |
주발전기 고장@착륙모드: DH 이상 |
주발전기 고장@착륙모드: DH 미만 |
임무관리컴퓨터(IMC: Integrated Management Computer) 고장 |
IMC/탑재통신제어기 연동결함 |
IMC/FLCC(FLight Control Computer) 연동결함 |
자동비행 중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고장/미사용 |
MOR(Manual OverRide) 운용 |
자동착륙 중 비상축압기 작동 및 제동: 착륙제동제어기(LBCU: Landing and Brake Control Unit) 정상 |
자동착륙 중 비상축압기 작동 및 제동: LBCU 고장 |
GCS 구성장치 고장 영향성 시험 |
조종면고장시험: 우측 Inboard 러더베이터고장 및 측풍10kts |
조종면고장시험: 우측 Inboard 러더베이터 고장 및 정풍20kts |
조종면고장시험: 우측 Outboard 러더베이터 고장 및 배풍5kts |
조종면고장시험: 우측 에일러론 고장 및 측풍10kts |
조종면고장시험: 우측 플래퍼론 고장 및 측풍10kts |
조종면고장시험: 좌/우측 플랩 고장 및 측풍10kts |
고속활주 중 엔진고장시 비상축압기 작동 및 비상제동 |
활주이동 중 엔진고장시 조종사에 의한 비상축압기 작동 |
이중화 장비의단일고장시험 |
지상통신제어기/탑재통신제어기 이중화 시험 |
FLCC 이중화 시험 |
추진제어모니터링장치 이중화 시험 |
조향제어기 이중화 시험 |
착륙제동제어기(LBCU) 이중화 시험 |
구동장치 이중화 시험 |
복합항법장치 이중화 시험 |
날개장착 대기자료장치(ADS: Air Data System) 이중화 시험 |
전방장착 대기자료장치(ADU: Air Data Unit) 백업 시험 |
단일장비 고장시험 |
전파고도계 고장시험 |
정밀위치추적기 고장시험 |
연료량측정장치 고장시험 |
음성비행기록장치 고장시험 |
환경제어기/방빙제어기 고장시험 |
영상음성압축장치 고장시험 |
전원모니터링장치 고장시험 |
비상 운용모드 시험(
Table 4)은 비행 중 엔진고장, 또는 착륙장치 고장, 또는 비행능력상실과 같은 무인항공기의 기지 귀환과 착륙이 불가능한 경우에 체계운용 로직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Table 4.
Emergency mode operation test
분류 |
비상 운용모드 시험 항목 |
비상상황운용시험 |
엔진고장@이륙모드(WOW On & 자동이륙 & 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이륙모드(WOW On & 조종기방식 & 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이륙모드(Lift Off 고도(50ft) 미만 & 자동이륙 & 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이륙모드(Lift Off 고도 미만 & 자동이륙 & 추력상실) |
엔진고장@이륙모드(Lift Off 고도 이상 & 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이륙모드(Lift Off 고도 이상 & 추력상실) |
엔진고장@임무모드(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임무모드(추력상실) |
엔진고장@착륙모드(DH 미만 & 자동착륙 & 추력통제불가) |
엔진고장@착륙모드(DH 미만 & 자동착륙 & 추력상실) |
엔진고장@착륙모드(DH 미만 & 조종기방식 & 추력통제불가) |
복합항법장치 고장@이륙모드(WOW On) |
랜딩기어 고장@착륙모드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이륙모드(WOW On)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이륙(Lift Off 고도 미만)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이륙(Lift Off 고도 이상)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임무모드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착륙모드(DH이상) |
통제명령수신불가 상태에서 랜딩기어 고장@착륙모드 |
상태정보수신불가 상태에서 엔진고장@임무모드 |
ADS 고장@이륙모드(WOW On 상태) |
ADS/ADU 고장@이륙모드(WOW Off 상태) |
ADS/ADU 고장@임무모드 |
ADS/ADU 고장@착륙모드(DH 이상) |
ADS/ADU 고장@착륙모드(DH 미만) |
비정상 운용시험, 비상운용시험은 비행시험으로 확인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이기 때문에 비행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체계 SIL을 통한 검증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시험항목들의 결과는 성공, 실패로 나타나고, 실패인 경우에는 오류 원인을 찾아 분석, 수정후 재시험한다. 시험 결과의 분석은 실시간 자료분석 장비에 저장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Fig. 12는 정상 운용모드 시험 중 발생한 1553B 통신 오류 중 한 가지로, 1553B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Heartbeat 계수의 현재값과 이전값의 차이값 그래프이다. 이 차이값은 항상 ‘1’ 이어야 정상인데, 간헐적으로 ‘2’ 이상, 또는 ‘0’ 인 오류가 발생하였다. 분석 결과, 이 현상은 비행조종컴퓨터와 복합항법장치 내부에 사용된 각각의 수정발진자의 진동주파수 정밀도가 서로 다르며, 정확한 동기가 맞지 않기 때문에 20 msec 기준 통신주기에서 2∼6번 연속으로 주기성이 깨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현상의 근본적 해결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대처 방안으로 비행조종컴퓨터의 OFP에서 20 msec 주기의 10배인 200 msec 동안 연속적으로 Heartbeat 차이값이 ‘1’이 아닌 경우에만 통신오류(이 경우 이중화 비행조종컴퓨터 중에 오류 발생한 부분은 미사용)로 정의하여 비행조종컴퓨터의 통신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여 무인항공기 체계의 강건성을 확보하였다.
Fig. 12.
A communication fault example
결과적으로,
Table 1∼
4에서 제시된 시험항목을 통하여 무인항공기, 데이터링크, 지상통제장비 구성품의 소프트웨어에 많은 결함을 검출하였고, 결함관리대장에 기록하여 관리하면서, 반복적인 재시험을 통하여 무인항공기 체계 소프트웨어의 무결성을 확보하였다.
추가적으로 비행시험 수행 전에 조종사들의 관숙훈련을 수행하여, 체계 SIL의 효용성을 배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