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HCUR 기체의 유한요소 모델링 기법
HCUR 기체의 구조 동역학 모델링 및 진동 응답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MSC.NASTRAN을 사용하였다. HCUR 기체의 구조 동역학 모델링은 탄성보 요소(CBAR)를 사용하여 1차원(1D) stick 모델로 나타내었다. 1D stick 모델링은 적은 자유도를 사용함에도 3D 기체 구조 모델과 유사한 동특성을 구현 가능하고 3D 구조 모델에 비해 해석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8]. 본 연구에서는 정규 모드(normal mode) 해석 모델 및 지상 진동 시험(Ground Vibration Test, GVT) 모델의 두 종류의 stick 모델을 이용한다. 기체의 주요 구성 요소들의 중량 정보는 개념 설계 결과로부터 얻으며, 이를 집중 질량 요소(CONM2)로 모델링한다. 이후, UH-60A, XH-59A, 및 XV-15 등의 기존의 회전익기 기체의 모드 특성과 유사할 수 있도록 탄성보 요소(CBAR)의 기하학적 형상 및 재료 물성치의 값을 적절히 가정 및 입력하여 자유(free-free) 경계 조건의 정규 모드 해석용 기체 모델을 구축한다. 이 때, 본 논문에서는 동체와 날개의 진동 응답을 주로 조사하므로 수평 및 수직 꼬리 날개는 간단하게 집중 질량 요소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어진 기체의 정규 모드 해석 모델은 지상 진동 시험 모델의 기준 모델(reference model)로 이용된다.
적절히 모델링된 정규 모드 해석용 기체 stick 모델의 로터 허브 및 꼬리 날개의 위치에 총 2개의 번지 케이블(bungee cable)을 각각 추가하여 지상 진동 시험 모델을 구축한다(
Fig. 5). GVT 모델을 이용한 기체 진동 응답 해석 기법은 실제 항공기에 대한 지상 진동 시험 기법과 동일하며, 자유 경계 조건의 로터-기체의 연계 해석 모델(coupled analysis model)에 대한 트림 해석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해석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9]. 번지 케이블은 1차원 탄성보 요소(CBAR)로 나타내며, 앞서 구축된 자유 경계 조건의 stick 모델의 정규 모드 해석의 고유 진동수 값과 GVT 모델에 대한 주파수 응답 해석(frequency response analysis)의 고유 진동수 값의 오차가 5 % 내로 표현되고 6개의 강체 모드가 얻어지도록 번지 케이블의 길이, 탄성보 요소의 재료 물성치 및 기하학적 형상을 모델링한다.
Fig. 5.
Ground vibration test(GVT) model
HCUR 기체의 정규 모드 해석 모델 및 GVT 모델의 고유진동수 해석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표에 서 보듯이, 두 해석 모델의 저차 모드 고유 진동수가 5 % 이내의 차이로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GVT 모델이 비행 중의 HCUR 기체의 진동 응답 특성을 적절히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비행 속도에 따른 2P 진동수의 값
[2,7]과
Table 2에 주어진 기체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공진 회피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Table 2.
Natural frequencies of airframe stick model
Mode |
Natural frequency [Hz]
|
Difference [%] |
Normal mode analysis model (free-free B.C.) |
GVT model (Freq. response analysis) |
1st symmetric wing beam mode |
3.323 |
3.360 |
1.13 |
1st vertical bending mode |
9.150 |
9.420 |
2.96 |
1st lateral bending mode |
9.563 |
9.560 |
−0.03 |
2nd vertical bending mode |
16.261 |
16.268 |
0.04 |
2nd lateral bending mode |
21.835 |
21.827 |
−0.04 |
3rd lateral bending mode |
40.514 |
38.856 |
−4.27 |
3rd vertical bending mode |
40.519 |
40.447 |
−0.18 |
3. 연구 결과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의
Fig. 6에 70 knots의 비행 속도에서의 HCUR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과 기체 진동 응답 사이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기체 주요 위치에서의 기체 축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의 2P 진동 응답(
Fig. 6(a))의 경우, 3종류의 2P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때(F
x2P+F
z2P+M
y2P)의 진동 응답의 크기가 2P 로터 허브 피치 모멘트(M
y2P)만 작용할 때보다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F
x2P 및 F
z2P에 의하여 M
y2P의 가진에 의한 2P 기체 진동 응답의 일부가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허브 진동 하중을 개별적으로 적용했을 때(F
x2P, F
z2P, 및 M
y2P)의 진동 응답 중, M
y2P의 결과가 가장 크다. 2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을 함께 적용한 3개의 결과에서도 M
y2P가 포함된 2개의 진동 응답(F
x2P+M
y2P 및 F
z2P+M
y2P에 의한 가진)이 M
y2P가 포함되지 않은 F
x2P+F
z2P를 이용한 진동 응답 결과보다 더 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기체 축 방향으로의 진동 응답에 대하여 진동 하중 성분 중 M
y2P의 영향이 가장 지배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모든 가진 조건의 진동 응답을 고려할 때, 원격 조종 장치에서의 진동이 가장 심한 것을 예측할 수 있다.
Fig. 6.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70 knots (rotor speed = 728.180 RPM)
기체 수직 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의 2P 진동 응답(
Fig. 6(b))의 경우, F
x2P에 의한 진동이 F
z2P에 의한 결과보다 크게 얻어졌다. 이는 로터 허브에 작용하는 F
x2P가 만들어내는 기체의 피치 운동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이 F
z2p의 가진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보다 크게 얻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모든 위치에서의 수직 방향의 기체 진동 응답은 F
x2P 와 F
z2P가 함께 작용하였을 때, 가장 크게 얻어졌으며, M
y2P를 추가하여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할 때(F
x2P+F
z2P+M
y2P), F
x2P와 F
z2P가 함께 가진했을 때보다 진동 응답이 작으므로, M
y2P를 추가하여 기체 진동 응답의 크기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함께 기체를 가진 할 시에 날개 뿌리(root)에서의 수직 방향 진동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7은
Fig. 6에 주어진 원격 조종 장치 위치에서의 2P 기체 진동 응답을 로터 한 바퀴 회전에 대하여 보여준다.
Fig. 7(a)에서 보듯이 기체 축 방향의 진동의 경우, F
z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의 크기는 상당히 작으며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이 F
x2P에 의하여 13.4%만큼 감소되는데 이는 두 그래프 사이의 위상차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기체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의 경우(
Fig. 7(b)), F
x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이 M
y2P 에 의하여 감소되며 이는 두 진동 응답의 위상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Fig. 7에 얻어진 결과로부터 진동 응답의 진폭과 위상을 통하여 앞선
Fig. 6의 결과의 원인을 적절히 분석할 수 있다.
Fig. 7.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remote cockpit device for rotor one revolution(70 knots)
150 knots에서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과 기체 진동 응답 사이의 관계를
Fig. 8에 나타내었다. 기체 축 방향으로의 2P 진동 응답의 결과(
Fig. 8(a))에서는 앞의 예제와 동일하게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중 M
y2P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M
y2P를 포함한 경우(F
x2P+M
y2P 및 F
z2P+M
y2P에 의한 가진)의 진동 응답이 F
x2P+F
z2P을 가진한 결과보다 크므로 기체 축 방향으로의 진동 응답에 대하여 M
y2P의 영향이 지배적임을 제시한다.
Fig. 8.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150 knots (rotor speed = 648.080 RPM)
기체의 수직 방향으로의 2P 진동 응답의 경우(
Fig. 8(b)),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중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이 가장 크게 얻어졌으며 이는
Fig. 8(a)의 진동 응답의 결과와 동일하다. 즉, 70 knots의
Fig. 6의 결과와 비교 시, 비행 속도가 150 knots로 증가하면서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중 M
y2P의 영향력이 기체 축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에서 모두 증가하고 F
x2P의 영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 한 경우의 2P 기체 진동 응답이 M
y2P에 의한 단독 가진의 결과보다 최대 24.1 % 만큼 작게 얻어졌으며, 이는 기체 진동 응답에 대하여 F
x2P 및 F
z2P에 의하여 M
y2P의 영향력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로터 진동 지수(VI)가 최대의 값(
Fig. 4)을 갖는 230 knots의 비행 속도에서의 결과를
Fig. 9에 정리하였다. 기체 축 방향으로의 2P 진동 응답과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의 상관 관계(
Fig. 9(a))의 결과는 전술한
Fig. 8(a)의 150 knots의 결과와 유사하게 얻어졌으며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중 M
y2P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 한다.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 할 경우, 원격 조종 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큰 진동 응답을 보였다. 또한, 모든 조합의 가진 조건을 고려했을 때, 원격 조종 장치 위치에서 가장 심한 진동 응답이 관찰되었다.
Fig. 9.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230 knots (rotor speed = 524.290 RPM)
기체 수직 방향으로의 2P 진동 응답(
Fig. 9(b))의 경우, 전술한 150 knots에 비하여 세가지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성분의 가진에 대한 진동 응답의 크기가 최대 125.4 % 만큼 증가하였으며, 앞서 살펴본 예제들과 유사하게 대부분의 기체 위치에서 M
y2P의 영향이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성분들 중 가장 지배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 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 할 경우(F
x2P+F
z2P+M
y2P), M
y2P 만 기체에 작용할 경우보다 큰 진동 응답이 얻어졌으며, 이로부터 F
x2P 및 F
z2P가 수직 방향의 기체 진동 응답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70 및 150 knots의 결과와 흡사하게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 할 때, 기체의 주요 위치들 중 날개 뿌리에서의 기체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이 가장 크게 얻어졌다. 모든 조합의 가진 조건을 고려했을 때, 날개 뿌리의 위치에서 가장 강한 진동 응답 결과가 관측되었다.
Fig. 10은
Fig. 7과 마찬가지로
Fig. 9의 결과 중 원격 조종 장치 위치에서의 기체 진동 응답을 로터 한 바퀴 회전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Fig. 9(a)에 주어진 기체 축 방향에 대한 결과에서는 F
x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과 F
z2p에 의한 결과가 진폭뿐만 아니라 위상에 있어서도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이 F
x2P 및 F
z2P에 의하여 진폭이 10.2 % 만큼 감소되며 위상 또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각 진동 응답의 위상차가 그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b)는 기체 수직 방향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며 각각의 진동 응답의 위상차를 고려 시, F
x2p 및 F
z2p에 의하여 M
y2P의 진동 응답의 진폭 크기가 7.1 % 만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Fig. 10.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remote cockpit device for rotor one revolution (230 knots)
Fig. 11은 HCUR의 최대 비행속도인 250 knots에서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과 기체 진동 응답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기체 축 방향의 진동 응답(
Fig. 11(a))의 경우, 모든 위치에서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한 결과와 M
y2P만 기체에 작용한 결과가 상당히 유사하게 얻어졌다. 따라서 다른 두 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F
x2P 및 F
z2P)은 기체 축 방향으로의 진동 응답에 대하여 미미한 역할을 하는 반면, 대신 M
y2P가 가장 큰 영향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F
z2P와 M
y2P가 함께 기체를 가진 할 경우(F
z2P+M
y2P)의 결과가 모든 위치에서 가장 크게 얻어졌으며, 이로부터 F
z2P에 의하여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하여, F
x2P 와 M
y2P를 동시에 로터 허브에 작용할 시 (F
x2P+M
y2P), M
y2P만 기체를 가진 할 경우보다 작은 진동 응답을 보이므로 F
x2P는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을 일부 상쇄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
2P airframe vibration responses at 250 knots (rotor speed = 509.726 RPM)
기체 수직 방향의 진동 응답(
Fig. 11(b))은 전술한 230 knots의 결과에 비하여 다소 크기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진동 응답을 모든 기체 위치에서 나타내고 있다. 앞의 예제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위치에서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중 M
y2P가 기체 진동 응답에 대한 가장 주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3종류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이 동시에 기체를 가진 할 시, 가장 큰 기체 진동 응답이 관찰된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F
x2P와 F
z2P가 M
y2P에 의한 기체 진동 응답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결과들로부터 HCUR Lift-offset 로터의 3종류의 2P 허브 진동 하중 중, My2P가 기체의 주요 위치에서 기체 축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의 2P 진동 응답에 가장 지배적인 성분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 비행 속도 및 진동 응답 방향에 따라 2P 허브 진동 하중의 조합의 기체 진동 응답에 대한 효과는 다르게 얻어지기도 하였으며 이는 각각의 로터 허브 진동 하중 성분에 대한 기체 진동 응답의 위상차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